[접근성 매니징]
– 2023 서울국제공연예술제의 접근성 기획과 운영을 맡았습니다.
– 온라인 접근성 개선: 공식 홈페이지 내 상세 접근성 안내 공지를 추가하여 메인화면에서 해당 글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. 19개 인터파크 티켓 상세페이지의 내용을 검수하고 보완하였으며 주요 접근성 안내사항을 추가 하였습니다.
– 장애인 관객 예매 지원 및 관리: 주요 티켓처 이외에 전화와 문자, 이메일을 통한 예매를 관리하였으며, 온라인 채널에 접근성 매니저 연락처를 명시하여 모든 관객이 접근성 문의를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.
– 필요 접근성 파악을 위한 사전설문 운영 및 응대: 5개 접근성 공연 관람객을 대상으로 접근성 확보를 위한 설문을 운영하였습니다. 설문을 통하여 이동지원 필요 여부와 지원이 필요한 사항, 보조기구 이용 여부 및 종류 파악, 공연장 내 필요한 안내 등을 사전에 파악하여 현장의 접근성을 준비하였습니다. 설문에 참여한 관객을 포함한 전체 장애인 관객을 대상으로 공연 1일 전 사전 안내문자를 발송하였습니다.
– 현장 운영: 총 56회, 19개 공연에 8명의 접근성 매니저 및 스태프를 배치하였으며, 접근성 테이블 및 필담 운영, 수동 휠체어 운영, 접근성 관련 응대, 장애인 관객 이동지원 및 안내, 극장 사전 음성안내 운용 등의 업무를 진행하였습니다.
– 음성 포스터 기획: 포스터의 시각적인 정보를 목소리, 음악, 효과음의 청각적인 정보로 전달하는 음성포스터의 기획, 대본 제작, 검수를 맡았습니다. 배우 ‘이성수’, ‘장근영’님과 협업하였으며, 영상제작은 ‘세컨드크랙’에서 담당하였습니다.
– 접근성 영상 기획: 축제 개요 및 주요 세 개 극장에 대한 접근성 안내 영상 총 4편의 기획, 대본 제작, 검수를 맡았습니다. 영상은 음성과 수어, 자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수어통역사 ‘김보석’님과 협업하였으며, 영상제작은 ‘세컨드크랙’에서 담당하였습니다.
– 온라인 홍보 지원: 각 장애 유관단체별로 홍보 자료를 재구성하였으며, 온라인 홍보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지원하였습니다.
– 중장기 관객개발을 위한 워크숍 기획 및 진행: 단기 뿐만 아니라 중장기 관객개발을 위한 구체적 방법론 도출을 목표로 워크숍을 기획하고 진행하였습니다.
– 접근성 기획 및 운영 과정 아카이빙 및 개선점 도출: 2023 SPAF의 접근성 작업을 다양한 측면에서 기록하고 회고하였습니다. 아카이빙 및 디자인팀 ‘오늘의 풍경’에서 총 6개의 글 콘텐츠를 제작하였으며, 영상제작팀 ‘저스트픽션’과 협업하여 1개의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였습니다.
– 접근성 공연 작품 모니터링: 총 5개의 접근성 공연 중 2개 팀의 요청에 의해 모니터링을 진행하였습니다.
[만든 사람들]
예술경영지원센터 | 대표 문영호
서울국제공연예술제 | 예술감독 최석규
기획 및 운영 | 공연예술본부 홍사웅 본부장
기획 및 운영 | 공연해외진출팀 강예나 팀장
기획 및 운영 | 기획 서유미 최현지 조윤지
기획 및 운영 | 홍보 이혜리PD
기획 및 운영 | 지원 한가람
기획 및 운영 | 협력 백교희PD 송미선PD 임현진PD
기획 및 운영 | 접근성 조금다른 주식회사
기획 및 운영 | 티켓 김민영 매니저
운영 지원 | 통합운영 인벤투
운영 지원 | 기술운영 스탭서울
운영 지원 | 홍보마케팅 PRM
운영 지원 | 포스터디자인 워크스
2023서울국제공연예술제 축제 개요와 전반적 접근성 안내 영상 바로가기⟶
2023서울국제공연예술제 국립정동극장세실 접근성 안내 영상 바로가기⟶
2023서울국제공연예술제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접근성 안내 영상 바로가기⟶
2023서울국제공연예술제 여행자극장 접근성 안내 영상 바로가기⟶